관동화파는곳 2

관동화

이 약은 이른 봄에 노랗게 꽃이 피는데 한의사 중에서도 본 사람은 매우 드물 것이다. 중국의 비교적 남부 지역에 속한 고원 지대에서 자생하고 집단적으로 재배하는 식물이다. ​ 종래에는 머위를 관동화(款冬花)라고 해서 많은 서적에서 그렇게 답습을 해 왔으나 이것은 유사 식물을 잘 못 표기한 것에 불과하다. 관동화는 12월과 1월 사이에 꽃몽우리가 땅 속을 뚫고 올라와 활짝 피게 된다. 그러므로 옛사람들이 관(款)이란 ‘이른다(至也)’, ‘도달한다’는 뜻으로 겨울의 찬기운이 동결(凍結)할 때 이르러 백 가지 약초 가운데 빙설(氷雪)을 무릅쓰고 꽃몽우리가 땅 속에서 올라온다는 뜻이다. 땅 속의 꽃몽우리가 지표에 나타날 쯤 채취하여 약으로 사용하는 것이 관동화라고 볼 수 있다. 머위는 관동화와 같이 여러해살이 ..

나의 이야기 2023.03.29

관동화 효능

이 약은 이른 봄에 노랗게 꽃이 피는데 한의사 중에서도 본 사람은 매우 드물 것이다. 중국의 비교적 남부 지역에 속한 고원 지대에서 자생하고 집단적으로 재배하는 식물이다. ​ 종래에는 머위를 관동화(款冬花)라고 해서 많은 서적에서 그렇게 답습을 해 왔으나 이것은 유사 식물을 잘 못 표기한 것에 불과하다. 관동화는 12월과 1월 사이에 꽃몽우리가 땅 속을 뚫고 올라와 활짝 피게 된다. 그러므로 옛사람들이 관(款)이란 ‘이른다(至也)’, ‘도달한다’는 뜻으로 겨울의 찬기운이 동결(凍結)할 때 이르러 백 가지 약초 가운데 빙설(氷雪)을 무릅쓰고 꽃몽우리가 땅 속에서 올라온다는 뜻이다. 땅 속의 꽃몽우리가 지표에 나타날 쯤 채취하여 약으로 사용하는 것이 관동화라고 볼 수 있다. 머위는 관동화와 같이 여러해살이 ..

맛집 이야기 2023.02.09